4월 10일 교육부에서 내년부터 바뀌는 유아 지원 정책에 대한 보도자료가 나왔다.
어떠한 유아 지원 제도들이 바뀌는 것인지 있는지 알아보자.
보도자료에 따르면 아래의 총 6가지 항목이 바뀐다고 한다.
2024년부터 유아 학비 지원금을 인상한다. 현재 모든 유아에게 월 28만 원(2022년 12월 기준)의 유아 학비를 지원하고 있으나, 유치원에 따라 일부 학부모는 학비를 추가 납부하는 등 격차가 존재한다. 이에 따라, 2024년 만 5세를 시작으로 2026년에는 만 3세까지 유아 학비 지원금을 인상하여, 학부모의 교육비 부담을 경감하고 유아의 교육받을 권리를 보장할 계획이다.
※ 기존 유아교육·보육 예산(2022년 기준, 15조 원) 등은 유지하고, 추가 소요 예산은 지방교육재정에서 부담
유아의 학습권 보장을 위해 소규모 병설유치원을 적정규모 화한다. 3∼5세 유아 수는 2027년에는 2022년(12월 기준 108만 9천 명) 대비 약 32% 감소한 73만 9천여 명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되어, 소규모 국·공립 유치원과 사립유치원 폐원이 증가하는 등 구조 조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.
현재 1 학급 규모 병설유치원(전국 2,000여 개원)은 교사·돌봄 인력이 부족하여, 연령별 학급 편성이나 방학 중 온종일 돌봄·급식·통학버스 운영이 어려운 상황이다. 또한, 일부 지역은 소규모 병설유치원 운영을 위한 최소 원아 수 기준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 불가피하게 임시 휴원하도록 하고 있어 유아의 교육·돌봄 사각지대가 우려되는 상황이다.
이에 따라, 교육부는 2024년부터 1 학급 규모 병설유치원을 적정규모화(예시: 3 개원을 1 개원으로 통합)하고 연령별 학급 편성, 방학 중 온종일 돌봄·급식·통학버스 등 양질의 교육서비스를 지원할 예정이다. 또한 유아 모집이 어려워 폐원을 희망하는 사립유치원은 원활히 폐원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하고, 사립유치원에 재원 하던 유아를 인근 국·공립기관 등에 전원 하도록 지원하여 단 한 명의 유아도 교육·돌봄의 사각지대에 놓이지 않도록 선제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다.
※ 희망하는 유치원을 대상으로 추진하고, 시범운영 결과를 거쳐 단계적 확대
학부모의 아침 돌봄 수요에 대응하여 유아에게 더욱 안정적으로 교육·돌봄을 제공할 수 있도록, 2024년부터 희망하는 기관은 교육과정을 8시에도 시작할 수 있도록 시범 운영한다.
학부모가 교육관과 유아의 특성에 맞는 맞춤 교육을 선택할 수 있도록 유아교육을 다양화한다. 이를 위해, 2024년부터 기관별로 교육 내용·교육방법·교육시간(추가인력 활용 가능) 등을 유연하게 운영할 수 있도록 자율성을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하고, 각 유치원이 교육철학과 강점에 기반하여 특색 있는 교육(예시: 숲·생태·지역연계·몬테소리·발도르프 등)을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. 이를 통해 유아는 유치원이 제공하는 창의적이고 개별화된 교육을 통해 성장하고 학부모의 만족도는 제고될 수 있도록 한다.
2025년부터는 모든 유아의 방과 후과정(돌봄) 참여를 보장한다. 유치원·지역 여건·시도별 예산 상황 등을 고려하여 정규교사, 기간제교사, 전담사 등 방과 후과정 담당 인력을 배치·운영하고, 거점유치원, 늘봄학교·어린이집·지역아동센터 등과의 연계를 통해 돌봄을 확대한다.
저출산이 심각하다보니 영유아에 대한 다양한 지원이 확대되는 것 같다. 하지만 위의 지원 수준으로 과연 출산율이 높아질까?라는 의문이 생긴다. 우리 사회에 복합적으로 얽혀있는 문제들이 모두 작용하여 지금의 저출산 현상이 생겨났다고 생각한다. 개인적으로는 어떻게 우리가 현명하게 헤쳐나갈 수 있을까?라는 기대보단 사실 회의적이다. 이것은 고칠 수가 없다. 이것은 고성장한 국가에서 보이는 어느 정도의 사이클이라고 생각한다. 과거 일본이 그랬고, 유럽이 그랬다. 그리고 우리가 겪고 나면 몇십 년 뒤 중국이 겪게 될 것이다.
진짜 파격적인 정부가 나타나, 아이출산 시 말도 안 되는 혜택(이를테면 아이 1명당 현금 1억, 수도권 아파트 무상지원)을 준다면 또 모르겠지만 사회구조상 그렇게 하기란 쉽지 않을 것 같다.
오늘 어떤 기사를 보니 일본의 어떤 지방에서 저출산 대책으로 아이 학비지원으로 3억 원 정도를 지원한다고 한다. 우리로선 놀라운 정책이지만, 일본 역시 10년째 지속된 저출산의 여파로 1억 명의 인구를 지키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는 실정이다.
아직 우리는 저출산에 몇년 안 데어봐서 그 정도로 지원할 용기가 없을 것이다. 인구감소가 피부로 느껴져야 모든 사회구성원들이 노력하지 않을까?